본문 바로가기


IT이야기

파이썬 코딩 활용, 당신이 Python을 배워야 하는 이유

반응형

"최근 코딩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언어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Python이라는 언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이다.

 

먼저 Python의 뜻을 알아보자면 고대 신화속의 파르나수스 산의 동굴에 살던 큰 뱀으로, 아폴로가 델파이에서 파이썬을 퇴치했다는 이야기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Python은 귀도 반 로섬이라는 인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터프리터 언어인데 창시자인 귀도가 "Monty Python's Flying Circus"라는 코미디 쇼를 좋아했기 때문에 Pyth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실제로 Python의 아이콘을 본다면 두마리의 뱀 형상을 띄고 있으며 수많은 파이썬 개발 서적의 표지에 뱀이 나타나는 것도 이러한 이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이썬의 뜻은 이제 알겠는데 왜 파이썬이 중요할까?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파이썬은 학습용, 코딩 테스트용, 간단한 작업용 앱을 만들 때 간편하게 사용하던 언어이다.

아마 당시 접해본 사람들이라면 상용에는 쓸 수 없지만 간편함 때문에 사용하던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상용에 사용할수 없었던 이유는 쓸데없이 많이 잡아먹는 컴퓨팅 파워(리소스)도 한몫하기도 했었다.

(당시 상용으로 사용할만한 어플리케이션은 계산을 해주던 포스기 정도였다.)

 

그런 파이썬이 왜 중요해 졌을까?

 

 

일단 컴퓨터 스펙도 증가하고 Python 3.x 대 버전에서 많은 최적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퍼포먼스적인 이슈는 많이 제거된 편이다.

리소스에 대한 걱정이 적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개발하기 편한 코드, 사용자 입장에서 가독성 있는 코드가 유행을 하게 되고

 

결국 파이썬은 구글에 선택을 받아서 구글의 50%의 개발 산출물이 파이썬으로 만들어지게 된다.(현재는 Node.js 등 좋은 개발 언어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아닐 수도 있다.)

 

이렇게 거대한 기업에서 많이 선택을 하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는 필수적으로 익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실 대기업이 사용하는 부분은 극히 일부분의 이유이다.

 

Python은 자체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언어에서 그치지 않고 Dropbox의 파일 동기화 서비스에도 최적의 성능을 내고 Django라는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의 언어로도 활용되면서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는 웹페이지와 파일 관리까지 모두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가장 큰 이유는

4차 산업혁명의 꽃 AI(인공지능) 그중에서도 Deep Learning Engine인 Tensor Flow의 개발언어이기 때문에

인공지능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필수적으로 다뤄야 할 언어이다.

 

오늘은 대표적인 사례를 들어서, 현시점에서 파이썬 언어가 왜 중요한지, Python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터프리터 언어의 특성상 컴파일 시간이 짧고 즉시 실행되며 가독성이 있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직관적이고 pip의 기능을 활용하여 Open Source를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언어이기 때문에 개발 시간을 매우 단축시켜 줄 수 있다.

 

4차 산업 시대에 직면해 있는 현재 Python은 개발자 입장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다.

 

 

 

 

VS Code(Visual Studio Code) 활용한 Node js 개발환경 세팅

"최근 가장 핫한 개발환경 VS Cod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기존의 개발환경을 보자면 Python은 파이참, C와 C++은 Visual Studio, Java는 Eclipse, 웹은 아톰, Android는 Android Studio, iOS는 Xcode 등 언..

moneveloper.tistory.com

 

Node js 란 무엇인가? 설치부터 활용 방법

"서버 프로그래밍에서도 생태계 파괴자가 등장했다." 서버 프로그래밍 생각만 해도 어렵게 느껴지는데, 초보자도 책 한 권 읽으면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을 만큼 매우 쉽다. HTTP 프로토콜의 Re

moneveloper.tistory.com

 

반응형
stocksis banner